우리 몸에는 여러 색깔의 지방이 있다. 그중 우리가 흔히 지방으로 부르고 나쁘게 생각하는 지방은 백색 지방이다.
백색지방 외 어떤 지방이 있는지 알아보고 우리가 주목할 지방인 갈색지방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우리 몸 속 지방의 종류
1. 백색 지방: 에너지 저장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. 과다한 백색 지방은 비만,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등의 건강 문제와 연관이 있습니다.
2. 갈색 지방: 체온 조절과 대사 촉진을 위한 에너지 소모를 담당합니다. 갈색 지방은 열생산이 많아 추위에 대한 내성을 향상하는 역할을 합니다. 또한, 갈색 지방을 더 많이 활성화시키는 것은 체중 감량과 대사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3. 베이지 지방: 백색 지방과 유사하지만, 대부분 근육 주변에 위치하며, 근육에서 사용될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.
4. 지방 세포 외막에 있는 지질: 지방 세포에 포함된 지방 외에도, 우리 몸의 다른 부위에도 지질이 존재합니다. 이 지질은 신경세포 및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며, 우리 몸의 성장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5. 인트라미토콘드리아 지방: 근육과 같은 섬유구조의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지방으로,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물질인 ATP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6. 유도 지방: 우리 몸에서 생산되는 호르몬, 비타민 등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.
갈색지방이 중요한 이유
우리가 주목 할 지방은 건강에 이로운 갈색지방이다. 체온 조절과 대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일반적으로 우리 몸에 있는 지방인 백색지방은 에너지 저장과 역할이 크지만, 갈색지방은 그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.
이러한 특성으로 갈색지방은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, 비만, 당뇨병,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예방과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갈색지방 활성화
갈색지방은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. 일반적인 지방 조직과 달리, 에너지를 소모하여 체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. 따라서 갈색지방은 체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체중 감량과 같은 대사 질환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안타깝게도 갈색 지방은 일부 성인만 갖고 있으며 나머지에게는 없다. 미국 의학 저널인 '당뇨병'에 실린 한 연구에 따르면 38~65세 성인 24명을 관찰한 결과 2명에게서만 갈색 지방이 발견됐다.
1. 충분한 수면: 수면 부족은 갈색지방 활성화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.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여 갈색지방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2. 충분한 식이섬유: 과일, 채소, 견과류 등의 식이섬유는 갈색지방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3. 저온 조절: 실내 온도를 낮추어 갈색지방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. 찬물 샤워도 도움을 준다.
4. 규칙적인 운동: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갈색지방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일주일에 4회, 40분 정도 빠르게 걸으면 아이리신 분비가 늘어난다. 매일 아침저녁 10분씩이라도 간단히 스쾃를 해주는 것도 좋다.
5. 히트 트레이닝: 갈색지방을 활성화하는 방법으로, 짧은 시간 동안 고강도 운동을 수행하는 히트 트레이닝이 있습니다.
6. 스트레스 관리: 스트레스는 갈색지방 활성화를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,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합니다.
7. 커피와 차: 커피와 차는 카페인과 카테히닌이 갈색지방 활성화를 돕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.
8. 규칙적인 식사: 규칙적인 식사 패턴을 유지하면 갈색지방 활성화에 도움이 됩니다.
9. 식품 섭취 열효과(DIT):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'캅사이신'이나 카다멈 속의 '케톤', 녹차 속의 EGCG등으로 열효과를 내서 갈색지방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.
'건강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것으로 바꾸는게 좋은 것들 (0) | 2023.02.28 |
---|---|
면역체계 이상 증후와 원인을 알아봅시다. (0) | 2023.02.27 |
건강을 앗아가는 염증! 문제점과 이겨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(0) | 2023.02.22 |
집안 환기의 중요성 (0) | 2023.02.22 |
건강한 수면을 위해 (0) | 2023.02.21 |
댓글